본문 바로가기
이슈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방법, 수법과 피해사례, 예방법

by 멜로디클로젯 2024. 11. 15.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방법, 수법과 피해사례, 예방법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경찰과 법조인마저 방심하는 순간 당하게 된다는데요. 저런걸 왜 당하냐 싶다가도 막상 본인의 상황에서는 판단력이 흐려져 현명하게 대처가 어려워 지는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이스피싱에 대한 사례와 대처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글을 가족과 지인들에게 공유하여 보이스피싱을 예방하세요!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방법, 수법과 피해사례, 예방법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과 사례

 

신용카드 정보 탈취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은 신용카드 정보를 요구하며, 이를 통해 피해자의 계좌에서 돈을 빼내는 수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카드가 부정 사용되었다"며 전화를 걸어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짜 공공기관 사칭

범죄자들은 경찰, 세무서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고, 세금 체납이나 범죄 연루를 주장하며 금전을 요구합니다. 이 경우, 실제 공공기관의 전화번호와 유사한 번호를 사용하여 신뢰를 주기도 합니다

 

 


가짜 경품 행사

"당첨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로 전화를 걸어, 경품 수령을 위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수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로는 경품이 없으며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소액 결제 유도

소액 결제를 유도하여 피해자가 큰 금액을 잃지 않도록 하여 경계심을 낮추고, 이후 큰 금액을 요구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메신저 피싱

가족이나 지인의 전화번호나 계정을 도용하여 금전 지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특히 긴급 상황을 가장해 빠른 송금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친구로부터 급히 돈을 빌려달라는 메시지를 받은 피해자는 친구의 전화번호가 맞기에 믿고 돈을 송금했으나, 이는 보이스피싱이었습니다.

 

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수법

음성 합성 기술

AI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범죄자들이 피해자의 가족이나 지인의 목소리를 모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는 실제로 그 사람과 통화하고 있다고 믿게 되어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습니다.

 

스피어 피싱

특정 대상을 겨냥한 스피어 피싱 공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범죄자들은 피해자의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활동을 분석하여 개인화된 메시지를 만들어 신뢰를 얻고, 이를 통해 금전을 요구합니다.

 

딥페이크 기술

페이크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이나 음성을 조작함으로써, 유명인이나 신뢰할 수 있는 인물로 가장하여 피해자를 속이는 수법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특히 사회적 신뢰를 악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AI 기반 패턴 분석

AI는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이 사용하는 패턴과 키워드를 학습하여, 특정 통화에서 위험한 내용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최근 사례

👉가족 목소리 사칭: 최근 한 사례에서는 범죄자가 피해자의 가족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가족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금전을 요구했습니다. 피해자는 가족의 목소리라고 믿고 돈을 송금하게 되었습니다

 

보이스피싱 예방법

예방앱 설치 하기 : 금융감독원이 추천하는 ‘파인(FINE)’ 앱 또는 보이스피싱 예방 전용 앱을 설치하여 사전 차단 기능을 활용하세요. 원격 조정 앱이 있다면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심스러운 전화는 즉시 끊기: 전화가 오면,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경우 즉시 전화를 끊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공공기관에 확인하기: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전화가 왔을 경우, 해당 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직접 연락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금융기관에 신고하기: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았다면, 즉시 금융기관에 신고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개인의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는 절대 타인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특히 전화로 요청하는 경우에는 더욱 경계해야 합니다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법

 

1. 즉시 신고하기

경찰에 신고: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한 경우, 즉시 경찰청(112)에 신고합니다. 경찰은 사건을 기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신고: 금융감독원(1332)에도 피해 사실을 신고하여 추가적인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에 신고: 돈을 송금한 금융기관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피해 사실을 알리고, 사기범 계좌에 대한 지급 정지를 요청합니다 

 

2. 증빙 자료 준비

사건사고 사실확인원 발급: 경찰서나 사이버 수사대에 방문하여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발급받습니다. 이 문서는 피해 구제 신청 시 필요합니다.

증빙 서류 준비: 사기범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회사에 제출할 증빙 서류를 준비합니다. 여기에는 사건사고 사실확인원과 송금 내역이 포함됩니다 

 

3. 피해 구제 신청

금융회사에 피해 구제 신청: 사기범 계좌를 관리하는 금융회사 지점에 사건사고 사실확인원 등 증빙서류와 함께 피해 구제 신청을 접수합니다. 이 신청은 지급 정지 신청일 기준으로 3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피해 환급금 결정: 금융회사에 피해 구제를 신청하면, 금융감독원이 피해 사실을 확인한 후 피해 환급금을 결정합니다 

 

4. 개인정보 보호 조치

신분증 및 카드 분실 신고: 만약 신분증이나 카드 정보가 유출되었다면, 즉시 해당 기관에 분실 신고를 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사고 예방 시스템 등록: 개인정보가 노출되었다면, 사고 예방 시스템에 등록하여 추가 피해를 방지합니다.

 

5. 주변에 알리기

가족 및 친구에게 알리기: 자신이 보이스피싱에 당했음을 주변에 알리고, 유사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합니다.

 

6. 전문가 상담

법률 상담: 필요시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법적 조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